반응형
2012년에 보고 쓴 리뷰---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는 관객에게 웃음을 주는 장면들이 많다.
같이 영화를 본 이는 웃다가 눈물까지 흘렸다.
현대의 욕을 사용하는건 이병헌의 아이디어였다고 하는데,
그의 의도대로 그 욕 덕분에 공감이 팍팍 이루어졌다.
관객을 감동의 도가니에 빠트리기도 한다.
인간적이고, 도의를 아는 하선이 광해가 되어 조선을 다스린 며칠간의 그의 행적이
영화를 본 이들 가운데 대다수를 감동시키고 울렸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이 영화가 개봉했던 2012년 가을의 정권 하에서 살고 있던 사람들에게는 더욱 더.
타이밍상, 기막 막히게 감동적일 수 밖에 없는 영화이다.
개인적으로 장광은 '도가니'의 파렴치한 교장이라고 전혀 인지할 수 없었을 정도로
알고 있는듯 모르는듯 미묘한 표정 연기를 보여야 했던 조내관 역할을 맡아 이미지가 확실히 바뀌었고,
김인권은 융통성 없는 도부장 역할을 맡아 인상적인 연기를 펼쳐주었다.
그러나, 연기의 갑은 당연 이병헌!
하선과 광해라는 대조적인 두 캐릭터를 동시에 연기하는 일이 쉽지 않았을텐데 훌륭하게 소화했다.
어느 정도냐면, 눈빛만 보고도 하선인지 광해인지 분간이 갈 정도였다.
배우들의 연기가 훌륭하고
재미와 감동을 주는 데다가
역사에 대한 호기심마저 증폭시키는 이런 영화,
참 좋다!
728x90
'마냥 좋아서 보는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서운 이야기] 2012년의 신선한 공포 (0) | 2020.12.30 |
---|---|
[헝거게임: 판엠의 불꽃] 제니퍼 로렌스가 노래만 잘했어도 (0) | 2020.12.30 |
[미드나잇 인 파리] 시간 여행의 디테일 (0) | 2020.12.30 |
[늑대 소년] 슬픈 사랑의 판타지 (0) | 2020.12.30 |
[26년] 작품성을 떠나서 봐야하는 영화 (0) | 2020.12.30 |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