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전히 재미로 읽는 책 / / 2020. 12. 27. 05:33

<자존감 없는 사랑에 대하여> 문제 있는 연애만 한다면

반응형

 

 

 

 

자신의 연애에 문제가 있다고 느끼는 여성들이 읽으면 좋을만한 책이다. 

 

[45쪽]

아버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어머니/아이 친밀 관계를 벗어나서 아이 스스로 자기만의 능력과 독립심을 계발하도록 돕는 것이다. 어머니의 관점이나 스타일, 기질과는 다른 대안을 보여줌으로써 아버지는 아이가 엄마와 정서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돕는다

 

[102쪽]

본래의 자기를 드러내면 당신을 진심으로 좋아하고 아끼는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상대가 당신의 본래 모습을 인정하고 이해해주면 당신의 자존감도 올라간다. 그 결과 만만하게 조종하고 통제할 수 있는 여자, 혹은 '완벽한' 여자를 찾는 남자를 물리칠 수 있다. 가장 중요하게는 더욱 강하고 확신에 찬 자기 자신을 만났다는 것이다. 

 

[122쪽]

집은 자기 정체성의 연장이며 자기 모습이 투영된 장소다. (중략) '자기만의 방'은 잡다한 일상에서 벗어나 나만의 생각을 모으고 일기도 쓰면서 창조적으로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다. 당신의 삶을 돌아보게 하는 사진이나 기록들, 남자와의 관계를 떠나 오직 당신만의 모습을 담은 물건들로 이곳을 장식하라. 때때로 이곳에서 홀로 시간을 보내라. 당신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이 공간에서 다시 한 번 확인하라. 

 

[132쪽]

여성의 공격성이나 남성의 수동성 같은 우리 안의 속성들을 사회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 '부적절한 '자질이라는 이유로 억압한다면, 그만큼 우리가 발현하지 못한 자질들을 투사할 타인을 내 것으로 소유하고 싶은 마음이 커진다. 여성들이 그토록 하고 싶었던 일을 하는 남자 혹은 그들 자신이 소망하는 삶을 사는 남자에게 사랑을 느끼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남성들도 자신이 표현하지 못하는 감정들을 구현하며 사는 여성들과 사랑에 빠지는 것이다. 

 

[135쪽]

저스틴은 자신이 부러워하는 자질을 가진 상대와 하나가 되어 얻으려 하기보다는 자기 내부에서 그런 자질을 키워갔어야 했다. 현실적인 사랑은 상대를 있는 그 자체로 인정한다. 낭만적인 사랑에서는 상대가 가진 것을 탐낼 뿐이다. 현실적인 사랑은 폭넓게 열려 있고 신뢰감을 준다. 상대를 제한하거나 억제하지 않고 소유하려 들지 않는다. 상대가 필요해서가 아니라 사랑하는 상대가 최선의 모습이 될 수 있도록 공간을 주고 격려하는 마음에서 시작된다. 그 과정에서 두 사람이 최선의 모습으로 성장한다. 그것은 보살핌과 신뢰와 상호 존중에서 나온 관계다. 진실한 사랑은 우리 안에서 최상의 것을 꽃피워낸다. 하지만 자기 필요에서 시작한 낭만적인 사랑은 최악의 것을 드러낸다. 누군가를 진실로 사랑하고 또 사랑 받고 있음을 느낄 때, 우리는 자신이 이룰 수 있는 가장 훌륭한 모습으로 변화한다. 상대박도 그렇게 변화한다. 

 

[145쪽]

부모의 부적절한 면을 드대로 닮은 사람보다는 상쇄해줄 사람을 선택하는 것이 논리적일테지만 사실상 우리는 반대로 행동한다. 즉, 성장한 환경 조건을 다시 만들어내어 그 조건을 고쳐놓고 싶은 것이다. 처음 좌절을 느끼고 상처 받았던 장면으로 돌아가 마음에 남아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 것이다. 

 

[146쪽]

다음의 항목 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패턴에 고착된 당신에게 경고가 될 것이다. 

- 그 남자를 왜 좋아하는지 설명하지 못한다. 

- 그는 당신이 좋아하는 '유형'이다. 

- 그 사람이 주변에 있으면 강렬한 느낌을 받는다. 

- 그의 어떤 점이 매우 친숙하게 느껴진다. 

- 함께 있으면 편하다. 마치 평생 알아왔던 사람 같다. 

- 아주 짧은 시간에 그에 대한 감정이 격렬해진다. 

- 그와 함께 있으면 평소 당신답지 않은 행동을 한다. 

- 그를 만난 이후 강박적으로 그에 대한 생각에 매달려 벗어나지 못한다. 

 

[159쪽]

누구에게나 변화를 요구해서는 안 되는 금지 구역이 있다. 옷차림, 헤어스타일, 말투, 식사 습관이나 취향, 여가 시간 활용 방식, 감정 표현 방식, 몸매, 사귀는 친구, 직장이나 직업 선택 기준, 교육 수준 등에 대해서는 함부로 판단하거나 변화를 요구해서는 안 된다. 특히 관계 초기라면 더욱 그렇다. 

 

[162쪽]

일반적으로 변하기를 바라는 남자의 기대에 굴복할수록 당신에 대한 남자의 존중심은 약해진다. 남자는 감정상의 강인함과 힘을 대단히 높게  평가하고 자신의 생각이나 가치관이 존중받아야 한다고 느끼기 떄문에 '굴복'하는 것을 나약함의 증거 혹은 '패배자'임을 시인하는 징표로 간주한다. 그런 여자라면 무시해도 좋다고 생각한다. 

 

[177쪽]

극도로 남을 통제하는 남자만이 자기 말에 고분고분 따르는 여자를 원한다. 남자는 여자에게 지배당하길 두려워하지만, 또 그만큼 상대에게 지배당하는 여자를 존중하지 않는다. 여자가 자기 생각을 당당히 표현하지 않으면 존재감이 없어지는 대가를 치르게 되고 사랑하는 남자에게 존중 받지도 못한다(자기에게 반대하는 여자를 혐오하고 여자가 다른 의견을 분명히 표현하는 데 불쾌함을 표시하는 남자는 어디에나 있다. 그럼에도 그 역시 속으로는 혹은 장기적으로는 당당한 당신을 존중한다. 물론 그런 속내를 말로 표현하리라 기대하지는 마라.)

728x90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